- 서울시, ‘2011년도 교통안전 종합대책’ 수립, 4월부터 순차적으로 추진
서울시(도시교통본부)는 교통사고 없는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운수.지하철.도로.안전문화 등 4개 분야로 구성된 ‘2011년도 교통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했으며 4월부터 순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진되는 ‘교통안전 종합대책’은 교통안전 사각지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예상되는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시민들의 교통안전의식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수립되었으며 운수, 지하철, 도로, 안전문화 등 총 4개 분야 13개 과제 30개 단위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운수업체 교통안전진단 확대하고 운수종사자 대상 차등교육 실시
먼저 운수 분야에서는 전문기관과 연계한 교통안전진단을 대폭 확대하고 운수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체험위주의 차등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CNG버스는 폭발사고 이후 지난해 8월 일제점검을 실시, 연료 용기를 교체하고 노후한 CNG 버스를 대.폐차하는 등 안전조치를 시행한 바 있으며 자체 점검장비를 개발해 4월부터 수시 점검을 강화한다.
25년 경과된 노후한 지하철 시설물 개선하고 2013년까지 혼잡역사 개선
지하철은 서울메트로에서 운영하는 1~4호선의 노후한 시설물들을 본격적으로 개선하고 시설물 점검 장비도 첨단화 된다.
또한 교통약자들의 안전한 지하철 이용을 위하여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계단 모서리 미끄럼 방지 작업을 매년 지속적으로확대하고 혼잡한 주요 17개 지하철 역사도 개선할 계획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사고 감소 위해 6개소에 식별성 높은 LED 교통전광판 교체
서울시는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중점 개선하기로 했다.
교통안전지킴이 운영, CCTV 233대 추가 설치 등 어린이보호구역 운영 내실화
도로안전시설 분야에서는 어린이와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반복적으로 교통사고가 일어나는 지점에 대해서는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73개소를 진행하고, 특히 사망사고가 집중된 지점 28개소에 대해서는 특별안전진단을 실시해 개선방안을 별도로 마련하기로 했다.
자전거 교육대상.범위 확대하고 대중교통 안전질서 확립 위한 홍보 실시
서울시는 2009년도 서울시 교통사고 사망자의 약 70%가 운전자의 안전의무를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보아 교통수단 관리, 도로시설물 개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운전자/보행자/자전거이용자의 안전의식을 높여 모든 면에서 안전한 교통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해 나가기 위해 별도의 TF를 구성하였으며, 올해 중으로 ‘서울시 중장기(2012~2016) 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체계적인 교통안전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보완도 병행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11년도 교통안전종합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함으로써 교통안전정책 지표 중 하나인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수를 ’10년 1.3명에서 ’11년 1.0명까지 감소시켜 서울시의 교통안전사고 수준을 30개 OECD 회원국가 기준으로 볼 때 10위권 이내로 진입토록 할 예정이다.
서울시 장정우 본부장은 “이번 서울시 교통안전 종합대책 수립을 계기로 시민 모두가 교통안전에 관심을 가지고, 안전질서를 준수해나간다면 ‘교통사고 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서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