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학교 설립 지원 및 조선학교 정부 지원 검토 요구
김충환 의원(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은 3일 외교통상부 전체회의에서 일본 내 조선학교가 남북간 이념대립의 장이 아닌 민족교육의 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조선학교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재일본 조선학교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자본으로 설립된 학교로 북한식 우리말 교육을 실시하며 1957년 이후 북한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받아와 ‘총련학교’로 불려왔다. 그러나 일본 내 우리정부가 지원하는 한국학교가 단 4개뿐인 탓에 많은 재일동포들이 민족교육을 위해 자녀들을 조선학교에 입학시켜왔고 여전히 많은 한국국적 재일동포들이 조선학교에서 민족교육을 받고 있다.
김충환의원은 이와 관련하여 “조선학교가 북한의 지원을 받아 총련계 학교가 된 것에는 해방이후 재일동포들에 대해 보여준 우리정부의 일관된 기민정책(棄民政策)에도 큰 책임이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극심한 경제난에도 북한은 여전히 조선학교에 미미하게나마 지원을 유지하고 있는 것에 반해 우리 정부의 재일동포교육정책은 여전히 미흡하다. 이런 무관심한 태도가 제2, 제3의 정대세를 만들어 결국 훌륭한 인재들을 잃게 되는 것”이라 지적했다.
또한 김충환의원은 조선학교에 대하여 “몇년전 에다가와 조선학교가 도쿄도에 부지를 빼앗길 위기에 처했을 때 조총련계와 민단, 그리고 내국민이 힘을 합쳐 소송과 모금활동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재일동포사회에서는 조선학교가 북한식 교육을 하는 학교가 아닌 우리말을 가르치는 민족학교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밝히면서 “조선학교가 상당수의 재일동포들에게 우리말교육과 민족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이상 정부가 이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현황파악 및 지원대책 수립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조선학교는 북한의 경제상황 악화로 인해 북한정부로부터의 지원이 명목상으로만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며, 일본의 반북감정 등에 의해 일본 고교무상화 정책 대상에서 제외될 위기에 처해 날이 갈수록 운영이 어려워지고 있다.
김충환의원은 이같은 조선학교들의 일본 내 입지 축소 및 운영상황 악화와 관련하여 “현재 단 4개뿐인 한국학교의 상황으로 볼 때, 조선학교가 붕괴될 경우 재일동포의 민족교육에 큰 공백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과거와 달리 조선학교 역시 서서히 변화하고 있어, 이념대립의 장이 아닌 통일시대를 대비한 교육의 장으로 나아가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조선학교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재일동포들의 민족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