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은 응급환자 소생율 제고를 위해 119 “구급서비스 품질관리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심정지 환자 생존율은 2.6%(2008)로 미국 아이오와 11%에 비해 생존율이 낮고, 예방 가능한 외상환자 사망률은 32.6%로 일본 10.3%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구급서비스 품질관리체계 운영”을 통해 심정지환자 생존율 및 예방 가능한 외상환자 사망률을 제고하고자 구급대원의 응급처치 적절성을 평가하고 이를 환류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정지 환자 및 중증손상 의심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품질관리지표를 개발하고, 주기적으로 구급서비스 품질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측정항목은 기도확보율, 산소투여율, 심전도 감시율, 자동제세동기 실시율 등으로 주기적으로 평가를 통해 구급대원 응급처치 적절성을 향상시켜 응급환자 소생율 제고를 도모할 예정이다.
한편, 25일 16개 시.도 구급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구급서비스 품질관리 추진을 위해 심도 있는 회의도 열리게 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