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김충환(한나라당.강동갑) 의원은 2월 25일 외교통일안보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김황식 국무총리에게 연내 남북고위급 회담과 정상회담 가능성을 타진했다.
김충환 의원은 “1.19 미.중정상회담에서 6자회담과 그 사전조치로서 남북대화가 필요하다는 데 합의가 이루어졌다.”며, “별도의 계기가 없는 한 새로운 동북아 안정을 위한 로드맵을 구성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김충환 의원은 “남북군사회담이 결렬된 이후,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관련된 별도의 브리핑을 받는 등 북한의 도발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며, “별도의 관계개선 조치가 없을 경우, 북한은 진정성을 보이지도 않지만 도발의 유혹을 버리지도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충환 의원은 “북한 측에 변화의 모멘텀을 줘서 모험주의 표출을 방지해야 한다.”며, “이러한 조건에서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피폭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실무급회담에서보다 총리 및 장관급 수준의 고위급회담에서 직접 받아내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충환 의원은 ”남북고위급회담 시도로 이후 남북정상회담 또는 6자회담 및 내년 4월 핵안보정상회의로 이어지는 북한 변화의 복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연성의 발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