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정운찬 위원장은「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 협력펀드 결성식」에 참석하여 현대중공업(주)와 협력사간 기술개발을 독려하고 부산.울산지역의 조선산업 9개 협력사와 동반성장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과 김동선 중소기업청장, 이재성 현대중공업 사장, 안병화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사무총장을 비롯하여 조선산업 협력사가 참석하였다.
정운찬 위원장은 이날 축사에서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기술개발의 노력이 중요하다”면서 “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 협력펀드는 가장 좋은 동반성장 사례”라고 치하했다.
이번 펀드는 중소기업청과 현대중공업(주)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투자촉진과 국산화 개발을 통한 기술자립을 위해,「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 협력펀드」사업의 일환으로 결성하였다.
조성되는 금액은 총 300억원이며, 중소기업청과 현대중공업(주)가 1대1의 매칭비율로 결성하여 각각 150억원 규모로 참여하였다.
협약을 통해 조성된 자금은 현대중공업(주)에서 직접 개발하기 어려운 기술을 중소기업이 개발할 때 사용하며, 개발에 성공한 제품은 조성에 참여한 현대중공업(주)에서 구매하는 조건이다.
현대중공업(주)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제품화를 위해 무상으로 자금을 출연하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중소기업은 개발과제당 최고 10억원까지 무담보?무이자의 자금을 지원받아 기술개발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중소기업이 상용화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현대중공업(주)로부터 3년이상 안정적인 판로까지 보장받을 수 있어 경영안정은 물론 일자리가 확대될 전망이며,대.중소기업 양극화 해소에 크게 기여하는 기술중심의 대표적인 동반성장 지원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정운찬 위원장은 (주)일신정밀 등 부산.울산 지역의 조산산업에 종사하는 9개 협력사 CEO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조선산업의 동반성장에 대한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허심탄회한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정운찬 위원장은 “조선산업은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대표 아이콘으로서 상징하는 바가 크다”며, “중국이 턱 밑까지 추월해온 상황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기술력으로 승부해야 한다”고 언급하였으며,중소기업 스스로 경쟁력 있는 원천기술의 개발과 펀드 등을 통한 대기업과 협력을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금오기전(주) 강병춘 대표는 “조선산업의 경우 직원들을 모기업에 파견, 실습하는 등의 현장 기술교육이 절실”하다고 호소하였고,여타 중소기업들은 상생협력펀드, 현금성결제 등 중소기업의 자금지원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노력을 요청하였다.
정 위원장은 동반성장이 대기업-1차 협력사에 국한되어 추진하는 경향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며,1차 협력사들도 납품대금 현금지급 확대 등 2~3차 협력사에 대한 동반성장 노력도 당부하였다.
또한 위원회 차원에서 2차이하의 협력사를 대상으로 동반성장 체감실태 및 필요한 지원사항을 조사해서 지원방안을 마련, 정부에 정책을 건의해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