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가 결국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정 후보자는 전관예우와 감사원 독립성 침해 논란 속에 야당은 물론 여당으로부터까지 사퇴 압박을 받은 끝에 지명 13일만인 12일 후보자직에서 자진사퇴했다. 그러나, 정 후보자의 사퇴 이후에도 청와대 인사책임자 문책 요구 등 후유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 후보자의 사퇴는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자로 지명한 지 13일 만이고 한나라당 사퇴 요구가 나온 지 사흘 만이다.
정동기 후보자는 이날 오전 11시 30분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감사원장 후보자 지위에서 사퇴하기로 결정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그러나 "평생 정치에 곁눈질하지 않고 살아온 제가 검찰에서 정치적으로 특정 대선후보에게 도움을 준 것처럼 왜곡하거나, 민정수석 재직시 전혀 관여한 바 없는 총리실의 민간인불법사찰에 관련된 것처럼 허위주장을 일삼고 이를 기정사실화 하는 데 대해서는 개탄을 금치 못했다"고 정치권의 공세를 반박했다.
특히 "아무리 중죄인이라도 말은 들어보는 것이 도리이고 이치임에도 청문회에 설 기회조차 박탈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청문회 없이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재판없이 사형 선고를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며 정치권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정 후보자가 낙마한 이유는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끝으로 공직에서 퇴직한 뒤 모 법무법인에 취직해 7개월 만에 7억원을 벌어들인 것이 결정타가 됐다.
대검차장을 지낸 경력에 힘입어 한 달에 1억원이 넘는 고액연봉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자 전관예우란 비판이 쏟아지면서 민심이 급속히 돌아섰다.
이와함께,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청와대 민정수석 경력도 정 후보자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됐다.
한나라당 등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의 측근이 감사원장에 내정된 사례는 유신 이후 처음있는 일로 감사원 업무의 독립성을 지키기 어렵다는 비판이 쇄도했다.
정 후보자가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 결과를 보고받은 정황이 드러난 것도 문제가 됐다.
정 후보자의 사퇴는 파상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청와대 인사책임론을 증폭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8.8개각에 이어 또다시 같은 실수를 되풀이 한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이번 인사의 중심에 서 있었던 만큼 어떤 형태로든 임 실장의 입장표명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함께, 임실장과 함께 인사를 총괄해 온 김명식 인사비서관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어 이번 인사파동이 청와대 인사라인 개편으로 이어질 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이 정부 들어 개각에서 낙마한 고위공직 후보자가 정동기 후보자를 포함해 모두 8명이나 되는 점을 감안해 인사제도와 이의 운용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사태수습책 마련에 나서는 한편으로 새 감사원장 후보자 인선에도 착수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