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보기관이 지난 8월 북쪽에 대한 통신 감청을 통해 서해 5도에 대한 북한군의 공격 계획을 사전 확인했으나, NLL·북방한계선 남쪽 해상에 대한 포격 정도로 예상하고 안일하게 대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정부와 군의 총체적 안보무능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원세훈 국정원장은 1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지난 8월 북쪽에 대한 통신 감청을 통해 서해 5도에 대한 대규모 공격계획을 확인하지 않았느냐”는 의원들의 질문에, “그런 분석을 했다”고 답했다고 최재성 민주당 간사와 이범관 한나라당 의원이 밝혔다.
한 정보위원은 “당시 파악한 감청 내용은 ‘해안포 부대 사격준비를 하라’는 내용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원 원장은 북한의 공격 계획을 확인한 뒤 군 당국이 별다른 대응 조처를 취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북한이 상시적으로 위협적 언급을 했기 때문에 민간인 지역까지 포격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며 “군 정보 당국은 북한이 NNL 남쪽의 해상을 공격하지 않겠느냐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군 당국자도 “북한 도발을 대비했지만, 비슷한 북한의 위협이 이전에도 여러차례 있었기에 1953년 휴전 이후 처음으로 북한이 연평도 섬 안으로 대규모 포 공격을 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지난 3월26일 천안함 침몰 사건 뒤에도 군과 정부가 비상한 각오로 북의 도발에 대처하겠다고 했던 대국민 약속과 달리 안일하게 대응했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통신 감청을 통해 북한의 공격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했음에도 군이나 정부 당국에서 아무런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앞으로 책임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원세훈 원장은 정보위에서 “북한이 이번(공격)에는 유선으로 작전을 수행해 (우리 정보 당국이) 알 수 없었다. 23일 연평도 공격 당일 상황도 유선으로 통신이 이뤄져 북한군의 인명 피해 등을 측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이범관 의원은 전했다.
국정원은 이어 “우리 군이 북한을 향해 대응 사격한 포탄 80발 가운데 개머리 기지에 30발, 무도에 15발 등 45발의 탄착점을 확인했다”고 밝혔으나, 북한군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에 대해선 판단을 유보했다.
국정원은 지난 27일 한국을 방문한 다이빙궈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이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남북관계가 원만하게 해결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을 뿐, 6자회담 재개를 제안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 국정원장은 또 미국의 내부고발 전문 사이트인 ‘위키리크스’에서 언급된 북한 고위 인사의 망명설에 대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