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근로자가구 중 고위 임직원 등 관리자에 속하는 가구주의 지난해 근로소득이 다른 직업군보다 가장 많고 증가율도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근로자가구의 가구주 본인 월 평균 근로소득은 231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5.5% 증가했다. 직업별로는 일반관리자, 의회 의원, 고위 임직원 등 관리자가 398만3000원으로 9개 직업군 중 가장 많았고 의사, 변호사 등 전문가 341만8000원, 기술공 및 준전문가 306만3000원, 사무종사자 276만4000원, 무직·군인·농업·임업·어업 숙련 종사자 231만9000원 등의 순이었다. 근로소득 증가율도 관리자가 10.2%로 가장 높았고 기능원 및 관련 종사자 6.4%, 기술공 및 준전문가 5.9%, 서비스·판매 종사자 4.7%, 전문가 4.5%, 단순 노무 종사자 3.9%,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3.3%, 사무종사자 2.3% 등의 순이었다. 무직·군인·농업·임업·어업 숙련자 가구주의 지난해 근로소득은 전년보다 10.2% 줄었다.◆ “기업체 임원 역할 늘어나”민간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기업 등의 조직에서 임원 등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이들의 근로소득뿐 아니라 증가율도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고 무직·군인·농업·임업·어업 숙련 종사자에 속하는 가구주의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은 무직 가구주의 비중이 늘어난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