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선식품지수 49% 상승, 통계작성 이래 최대
소비자물가가 20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4%대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채소나 생선 등 신선식품 지수는 199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폭인 49.4% 급등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2% 올라 4개월째 상승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4.1% 올랐다.
물가상승을 주도한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에 비해 49.4% 상승했으며 전월 대비로는 0.6% 올랐다.
무는 지난해 대비 275.7%, 배추는 261.5% 폭등했고, 파(145.5%)와 토마토(114.4%), 마늘(102.5%)도 100% 넘는 상승폭을 보였다.
기획재정부는 "9월과 10월의 농축수산물 공급 부족에 따른 충격 여파가 크다"며 "그러나 10월 중순 이후 배추 가격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에 11월에는 전체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 초반대로 복귀하고 연간 물가 또한 3%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에 비해 4.8% 올랐다.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한 부문별 물가상승폭을 보면 농산물(37.0%)과 수산물(10.6%)의 가격 급등으로 농축수산물이 22.7% 올랐고, 공업제품은 3.0%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은 2.0% 오른 가운데 공공서비스가 1.3%, 개인서비스 2.3%, 전세와 월세 등 집세가 2.2%의 상승률을 보였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국제 금값 급등에 따라 금반지가 21.1% 올랐고 자동차용 LPG(16.9%), 취사용 LPG(16.8%), 등유(9.8%), 경유(7.0%), 휘발유(5.1%)도 크게 올랐다.
개인서비스에서는 해외단체여행비(11.6%)와 유치원납입금(6.0%), 대입학원비(4.9%) 등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소비자 물가 기여도는 농축수산물 부문이 1.91%포인트로 10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고, 서비스 부문이 1.17%포인트, 공업제품은 0.95%포인트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