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 26일부터 이틀동안 열렸던 남북 적십자회담이 결국 양측의 입장차만 확인한 채 아무런 합의도 이끌어내지 못하고 끝났다.
북측은 지난 26일 회담에서 "연 3-4회 정도의 상봉행사를 갖자"고 제의하는 등 다소 진전된 입장을 들고나와 이번 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으나 결국 2가지 조건을 내걸면서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먼저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의 조건으로 대규모 대북 지원을 요구했다.
북측은 "남측이 제기한 상봉 정례화를 비롯한 이산가족 문제 해결 방안들은 쌀, 비료를 제공하게 되면 풀어갈 수 있다"며 구체적으로 쌀 50만톤과 비료 30만톤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상봉 장소 문제 해결을 위해 실무 회담을 열자고 거듭 요구해 금강산 관광 재개가 이뤄져야 상봉 정례화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우리측 대표단은 "북측이 요구하는 대규모 지원은 적십자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며 정치적 판단을 하는 당국에서 검토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금강산 관광 문제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는 별개의 사안으로 연계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로써 이틀동안 개성에서 진행됐던 남북적십자회담은 아무런 합의없이 막을 내리고 말았다.
다만 우리측은 다음달 25일 남측지역인 문산에서 적십자회담을 다시 열자고 제의했고 이에 북측은 장소는 유보한채 이를 받아들였다.
앞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에 대해 북측은 지난 26일 "설과 추석 등 명절을 기본으로 1년에 3~4차례 각각 100명 규모로 하고 화상 상봉과 영상편지 교환사업도 병행하자"고 제의했다.
이에 우리측은 "동절기(12월~2월)를 제외하고 내년 3월부터 월1회, 남북 각각 100명씩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에서 정례적으로 상봉행사를 치르자"고 제의하는 한편 이미 상봉했던 가족들도 남북 각각 50가족씩 매월 재상봉하자는 안을 제시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