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2012년까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청년친화적 일자리 7만 개 이상을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먼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신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에너지ㆍ자원 분야와 연구ㆍ개발 분야에서 약 7,200명을 고용하기로 했다.
늘어나는 정원은 반드시 청년 신규 채용으로 채우게 하고, 그 실적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신성장동력 분야 창업기업이 신규 채용하는 청년 1인당 1년 동안 최대 720만 원을 지급하는 '창업기업 신규채용 지원금'도 신설된다.
재난구조와 구급 활동, 치안, 방역 등 분야도 정원을 늘려 청년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청년인턴 사업 중 실효성이 낮은 행정인턴을 폐지하고, 취업률이 80%를 넘는 중소기업 청년인턴 사업을 확대해 2012년까지 3만 7,000명 이상을 정식 취업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취업교육이 부실하거나 취업률이 낮은 대학은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이 이뤄지도록 평가 시스템을 강화하고 인력 수요자인 산업계의 관점에서 대학 평가를 주도하기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