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15년까지 우리나라를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지식경제부는 13일 제 9차 녹색성장위원회에 보고한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을 통해 오는 2015년까지 모두 40조 원 규모의 민관투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세계 5대 강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수출 규모를 362억 달러까지 늘리고, 관련된 일자리 11만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분야를 살펴보면 태양광 분야에 가장 많은 20조 원이 투입되며 풍력에너지 10조 원, 연료전지 9천억 원, 바이오연료 9천억 원 등이다.
특히 현재 한자릿수에 머물고 있는 태양광 분야를 제 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운다는 목표를 잡고, 시장점유율을 15%까지 끌어올린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정부는 이같은 목표를 위해 전략적 연구개발 및 사업화 추진, 국내 시장창출 강화, 수출산업화 촉진, 기업성장 기반 강화의 4개 분야를 설정해 세부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연구개발과 사업화 추진을 위해 태양전지 등 10대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1조 5천억 원이 투입되며, 태양광 장비 등 8대 부품소재의 국산화를 위해 1조 원을 사용한다.
정부는 또 국내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학교와 우체국, 공장 등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오는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를 시행해 대규모의 시장창출을 유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수출산업화 촉진분야에서 정부는 해상풍력시장 선점을 위해 모두 9조 원을 투자하는 해상풍력 톱3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결정하고 글로벌 스타기업 50개를 육성하기로 했다.
여기에 중소기업의 기업성장 기반을 다져주기 위해 1천억 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문 펀드를 조성해 모두 1조 6천 억 원 규모의 대출을 정부가 보증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