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형 무기인 K11 복합형 소총이 양산 과정에서 심각한 불량률을 보여 전력화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국회 국방위원회 김장수(한나라당) 의원에 따르면 K11 소총 1차 생산품 39정이 지난 6월23일 전력화되고 나서 국방기술품질원이 지난 8월31일과 9월1일 2차 생산물량 208정 중 80정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결과 38정에서 문제가 발생, 불량률이 47.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청은 이에 따라 208정 외에 시험용 1정을 포함해 209정에 대해 지난달 전수검사를 실시해 첫 160정에 대해서는 불량률이 6.9%(11정)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49정에서는 불량률이 30.6%(15정)로 다시 높아졌다.
김장수 의원은 "1차 생산품 39정에서 몇몇 문제점이 발견됐고 명품생산 방식의 소규모 제작과 양산과정이 분명히 다르다는 점을 알았다면 2,3차 물량에 대해서는 무리한 전력화를 추진하지 말았어야 했다"면서 "생산 공정이 완벽하게 정비될 때까지 지금이라도 양산계획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11복합형 소총은 S&T대우와 국방과학 연구소와 함께 2000년부터 개발에 착수, 2008년 2월 47개 항목에 대한 시험평가를 거쳐 7월 전투용 무기로 최종 적합 판정을 받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