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영유권의 부당함을 알리고 학생들에게 독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독도 수업이 내년부터 일선 초·중·고교에서 진행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5월 '독도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의 역사 교육과정'을 발표한데 이어 최근 열린 16개 시도 부교육감회의에서도 교육청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독도 관련 교육을 명기할 것을 권장했다고 12일 밝혔다.
교과부는 정규수업 또는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해 '독도 계기수업'을 활성화도록 권고했다.
계기수업이란 정규 교육과정과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는 주제나 사건을 소재로 해 별도로 진행하는 수업을 말하며 학교장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교과부 우원재 동북아역사대책팀장은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독도 교육' 명기를 권장했다"며 "이달 말에도 수업 안내 지침을 내려 보내 단위학교에서 독도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행정구역상 독도가 속한 경북도교육청은 초등학교 1~4학년 관련 교과에서 연간 10시간 이상 재량지도로 독도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교과부는 경북·충남교육청이 도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독도 교육 관련 내용을 이미 반영한 데 이어 충남·전남·인천·충북 등 4개 교육청이 올해 말까지 이를 반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초·중등 교육과정의 독도 교육과 교과서의 독도 관련 기술도 대폭 강화된다.
교과부는 지난 5월13일 개정 고시한 초·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일제에의한 독도 불법 편입의 부당성'과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 `독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영토문제' 등을 담은 역사·한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마련했다.
교과부는 내년 발간될 중학교 역사 하권에도 독도 관련 기술을 풍부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