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지도부와 청와대 정정길 대통령 실장이 이번 6.2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기로 하면서 지난 2003년 대선자금 수사여파 이후 7년 만에 한나라당이 비대위체제로 전환되게 됐다.
정몽준 대표는 3일 오전 당사에서 열린 마지막 선대위회의에서 "선대위원장으로서 커다란 책임감을 느끼며 이 자리를 빌어서 사퇴의 뜻을 밝히고자 한다"며 사퇴를 공식화했다.
정병국 사무총장 역시 "선거실무를 총괄한 선대본부장으로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한 것에 대해 무한책임을 느낀다"며 "이 모든 책임을 지고 사무총장직을 사임하겠다"며 역시 사퇴하기로 했다.
이어 계속된 비공개 회의에서 다른 최고위원들 역시 정 대표와 함께 사퇴하기로 뜻을 모음에 따라 현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다음주 초에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지게 됐다.
다만 한달여 전 취임한 김무성 원내대표와 고흥길 정책위의장은 자리를 지키며 비대위 체계를 이끌어가게 될 전망이다.
조해진 대변인은 "지난 2003년을 제외하고는 비대위 체계로 전환한 적이 별로 없어 단정하기는 힘들지만 상식적으로 김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대위구성안은 다음주 월요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되며 이 자리에서는 당초 6월말에 열릴 예정이었던 전당대회 일정연기 문제도 함께 논의될 예정이다.
지방선거 전부터 친이계를 중심으로 7월말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이후로 전당대회를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었다.
이날 회의에서도 친이핵심 정두언 의원이 전당대회 연기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조 대변인은 전했다.
이번 선거결과에 대해 선거전략상의 문제이지 '참패'는 아니라는 일부 의원들의 의견이 있기는 했지만 대체로 여당이 완패를 당했다는데는 뜻을 같이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4대강이나 세종시 수정안 등의 정책을 추진하는데 대한 일부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날 회의에서 정병국 사무총장은 충청지역 참패에 대해 "충청에서의 참패는 주요 국가정책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면서 피로감이 쌓인 결과"라며 세종시 수정안 추진이 민심이반을 이끈 것임을 시인하기도 했다.
한편 한나라당 지도부에 이어 정정길 대통령 대통령 실장도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정 실장은 대통령을 제대로 보필하지 못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