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동안 일자리 등을 찾아 들어온 외국인이 빠르게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인구가 정부 추계치보다 50만 명 이상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 2006년에 발표한 추계인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05년 4천 813만 8천명에서 2009년에는 4천 874만 7천명으로 60만 9천명 쯤 늘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실제로는 110만명이 늘면서 지난해 4천 930만명 정도가 됐을 것으로 추산된다.
해외로 나간 사람과 들어온 사람의 차이인 국제이동인구수가 주된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당초 우리나라 인구가 2005년에서 2008년까지 19만 7천명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었지만 실제로는 10만명이 오히려 늘어 인구는 29만 7천명 증가했다.
여기다 2009년에 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10만명을 합하면 39만 7천명, 약 40만명 정도가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여성 한사람이 평생 낳는 아이의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통계청 예상보다 높았다.
통계청은 합계출산율이 2005년 1.08명에서 2010년 1.15명으로 늘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로는 이미 2009년에 1.15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05년부터 2009년 사이 출생아 수는 228만 7천명으로 통계청 추정치 222만 3천명 보다 6만 4천명쯤 더 많았다.
사망자가 예상보다 줄어든 것도 한 원인이다.
2005년에서 2009년 사이 130만명 정도가 사망할 것으로 추계됐지만 실제로는 112만 4천명이 사망해 결과적으로 인구를 7만 6천명 더 늘리는 효과를 냈다.
이런 요인들을 모두 합하면 55만명 정도 인구가 더 늘어났다.
이에 따라 당초에는 2019년부터 인구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 시기도 10년 정도 지연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통계청은 인구가 2016년 4천 931만 2,000명이 되고 2018면 4천 934만 350명으로 최대가 된 뒤 2019년부터 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지만 실제로는 2020년대 초반이나 중반에 5천만명을 넘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는 최근 내놓은 인구추계에서 우리나라의 2050년 인구를 4천 433만 6,997명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통계청이 전망한 인구보다 199만 4,228명 더 많은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