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5명이 타고 있는 선박이 인도양 소말리아 해역에서 해적들에게 피랍됐다.
외교통상부는 4일 "마셜군도 선적 삼호해운 소속의 '삼호 드림호'가 이라크에서 미국으로 항해중 우리시각으로 이날 오후 4시 10분쯤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삼호 드림호'는 30만톤급 원유 운반선이며 해당 선박에는 한국인 5명과 필리핀인 19명 등 모두 24명이 탑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피랍사건의 특성을 감안해 한국인 5명의 신원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삼호 드림호'의 피랍 지점은 안타깝게도 청해부대 3진(충무공 이순신함)의 작전해역인 아덴만 해역으로부터 동남쪽으로 1500Km 정도 떨어진 지점이었다.
이날 피랍 소식이 전해지자 정부는 일단 삼호드림호가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피랍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도양 해역에 청해부대(충무공 이순신함)를 급파했다.
또한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영사대사를 본부장으로 한 '삼호 드림호 피랍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이날 저녁 7시 30분 첫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정부 당국자는 "최우선적으로 피랍 추정 선박의 상황 및 선원의 안전여부 확인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며 "정부는 가능한 모든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해양부도 최근 소말리아 해적이 원양해역 선박에 대한 피랍 시도가 빈번함을 감안해 인도양 인근 원양해역을 운항중인 우리 선박들에게도 해적 피랍 가능성에 대해 더욱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삼호 드림호'의 선주인 삼호해운측은 "선박과 선원의 조기 석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호 드림호 피랍'에 앞서 우리 국민이 타고 있는 선박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일은 총 5건이 있었다.
지난 2006년 4월에는 동원호, 2007년 5월에는 마부노1.2호가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됐다가 풀려났다.
2007년 10월에는 한국인 2명이 탑승한 일본 선적의 '골든로리호'가 피랍된 적이 있고 2008년 11월에는 '브라이트 루비호'가 피랍됐다가 37일만에 풀려난 적이 있다.
가장 최근은 지난 2008년 11월로 한국인 선원 5명과 필리핀 선원 등 23명이 승선한 '켐스타 비너스호(일본 선적)'가 아덴항 96마일 해상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납치됐다가 90일만에 자유의 몸이 되기도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