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주요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발표한 정규직 남녀 평균 임금 차 통계를 보면 한국 여성은 남성보다 38%나 덜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OECD 회원국들의 남녀 간 임금 격차가 17.6%임을 감안하면 한국의 여성 정규직 근로자가 임금 면에서 적지않은 차별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1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2003년에서 2006년까지의 자료를 근거로 낸 이번 통계치에서 한국에 이어 남녀 임금 격차가 심한 나라는 일본으로 33%를 기록했고, 독일 23%, 캐나다와 영국이 21%. 스위스와 미국.핀란드가 19% 순이었다.
남녀 임금 격차가 10% 미만인 나라는 9.3%인 벨기에 뿐이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006년 이후 남녀 임금 격차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지만 아직 한국의 직장 사회가 남성 위주로 돌아가고 있어 일정 부분 임금차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0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가별, 성별 임금격차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남녀 간 임금격차는 40%로 OECD 평균인 약 20%의 두 배에 달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