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16일 알레한드로 톨레도 페루 대통령(오전)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오후)과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외교에 본격 돌입한다. 노 대통령은 이어 조지 부시 미국대통령(17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총리(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19일) 등 주변 4강 정상과의 연쇄회담를 갖고 브루나이·베트남·호주(17일), 인도네시아·캐나다·칠레(18일)와도 양자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노 대통령은 또 행사 의장국으로서 18, 19일 두 차례 APEC 정상회의를 주재해 무역자유화 진전방안과 연내 경제기술 협력 강화 및 격차 해소 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4강과 회담 북핵해결 토대 마련 좋은 기회이번 회담 일정 중 무엇보다 관심을 끄는 것은 역시 미·중·일·러 정상과의 만남이다. 5차 6자회담 1단계 회의에 이어 북한을 제외한 관계국 정상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임에 따라 ‘9·19 베이징 북핵 공동성명 이행방안을 정상 차원에서 논의하는 등 북핵의 평화적 해결 토대를 다지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특히 참여정부 이후 첫 방한하는 부시 미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은 북핵 공동성명 이행합의 도출을 위한 한·미 간 전략을 공동 모색하고 굳건한 한·미 동맹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정상회담이 다른 정상회담과 달리 천년의 고도 경주에서 여는 것도 양국 정상의 친밀감을 강조하고 양국 간의 끈끈한 우정을 재확인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한·미 동맹강화 '경주선언' 전망정부 고위당국자는 “경주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한·미 동맹을 강화 발전시키는 방안을 포함해 공동의 외교적 목표를 전반적으로 담은 ‘경주선언’이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후진타오 주석의 방북결과를 바탕으로 한 북핵 해법과 함께 양국간 교역규모, 인적교류 확대 및 서해안 1일 생활권 촉진 방안 등 양국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한·러 정상회담에서는 북핵문제는 물론 동시베리아 원유·가스의 안정적인 공급과 우주인 사업 등 통상·우주과학기술 분야를,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역사인식의 새로운 접근과 양국 관계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