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관 TF구성, 100대 타깃 기업에 유치단 파견
자동차 부품, 반도체ㆍLCD, 바이오, 유통물류, 문화관광 등 5대 업종에 대한 범정부적 외국인투자 유치노력이 집중될 전망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19일 이재훈 산자부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외국인투자 대책회의를 개최, 상반기 외국인 투자실적을 점검하고 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유치를 위한 하반기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우선 유치 가능성이 높은 5대 업종에 대해 민관합동의 T/F를 구성하고 산자부 내 투자담당관(TM:Task Manager)을 임명하는 한편 투자가능성이 높은 외국의 100대 타킷 기업을 선정, 맞춤형 투자유치단을 파견키로 했다. 정부는 또 주요 투자가의 방한 초청 등의 적극적인 유치활동과 함께 5대 업종 분야의 다국적기업 R&D센터, 아시아지역본부 등 고부가가치형 외국인 투자유치에도 집중키로 했다. 이와 함께 하반기 중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 준비중인 총 15개국 79차례의 해외 IR활동을 적극 지원키로 하고 IR이 중복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부처 및 자자체 합동으로 IR활동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오는 10월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세계 화상대회와 APEC투자환경 설명회 등 국제행사를 활용한 투자유치 활동도 강화할 계획이다. 회의는 또 투자유치와 관련, 공무원이 아닌 민간 전문가 프로젝트매니저(PM)로 지정하고, 다국적기업 R&D센터의 지원한도를 상향조정하는 한편 캐쉬 그랜트 지원제도 개선 등 인센티브체계를 10월까지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또 외국인 투자통계 서비스를 개선, 통계의 공개범위를 늘리고 인터넷을 통한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조세감면 처리현황 등을 실시간 통보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지역클러스터 발전전략 등과 연계된 업종별 투자유치 전략 및 로드맵을 위한 전문기관 용역과 함께 일부 외신의 우리나라에 대한 부정적 보도로 왜곡된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대외 홍보활동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