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오는 6월 지방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자 등록이 2일부터 시작 되면서 여야는 선거체제로 돌입하고 있다.
오는 6월2일 지방선거에서는 전국에서 광역·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교육감, 교육의원 등을 뽑게 된다.
선관위는 지방선거 120일 전인 오늘 시도지사와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자 등록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회에서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출방식을 규정한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안 처리를 놓고 파행이 빚어지고 있어서 교육감 후보 등록 과정에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선거일 90일 전인 오는 19일부터는 시·도 의원과 시장, 구청장 예비후보가 등록하고, 다음 달 21일부터는 군 의원과 군수 출마 예비후보자가 등록 한다.
이 중 시도지사나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자는 오늘부터 등록을 마친뒤 제한적 범위내에서 선거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비 후보로 등록하려는 사람은, 선관위에 기탁금 천만 원과 전과기록, 학력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선거사무소를 설치할 수 있다.
지방선거 공식 후보로 선정되면 5월 13일부터 이틀간 후보 등록을 하고, 현역 의원은 예비후보자 등록과 함께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이명박 정부의 중간 평가는 물론 차기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는 6.2 지방선거가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됨에 따라 여야는 승리를 다짐하며 선거 체제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한나라당은 곧 지방선거기획단을 발족한 뒤 이달말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해 경선 등을 거쳐 4월말까지 후보자 공천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방선거를 현 정부에 대한 중간심판으로 규정한 민주당 등 야당도 다음달 말까지 후보자 공천을 마무리하고 야권 공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번 선거에는 전국에서 만 5,500여 명의 후보자가 출마해 역대 최대 규모의 선거전으로 누가 표심을 잡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정국 주도권은 물론 2012년 대선 구도까지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어 여야는 사활을 건 승부를 펼칠 전망이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