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오는 11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를 앞두고 삼성전자에 이어서 포스코, 한화, SK, 웅진 등 세종시에 입주할 기업들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과 여타 시도들의 반발과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알맹이도 없이 갈등만 조장하는 행복도시 백지화에 골몰할 때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도 "본말과 주객이 전도된 비정상적인 세종시 수정안을 정면으로 거부하며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7일 "원안이 배제된 세종시 수정안은 반대한다"고 밝힌 가운데 이를 둘러싼 여권 내부 갈등이 증폭될 전망이다.
박 전 대표는 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재경 대구·경북인 신년 교례회'에서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세종시) 원안이 배제된 안에는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박 전 대표의 발언은 원안에 따라 9부2처2청이 이전하고 자족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는 기존 '원안 플러스알파' 입장에서 한 치도 물러설 수 없음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홍사덕 한나라당 의원은 8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와 관련해 “수정안은 전면적인 위약(違約)이고 국회에 오면 바로 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오는 11일 수정안을 발표하더라도 야당은 물론 여권 내부의 조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7일 "경기도를 홀대해도 유분수지. 나중에 표로 보여주겠다"고 작심한 듯 정부 정책에 불만을 쏟아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서로 상생하고 다른 지역도 살아야 한다"며 "지방에 투자하는 기업이나 재투자하는 기업에도 세종시 처럼 국세 감면 혜택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면 전남도 행정부지사는 "세종시가 경제자유구역 수준의 인센티브와 파격적인 부지 공급가격으로 비수도권 지역의 기업 유치에 큰 장애물이 될 것"이라며 "이 때문에 지역 혁신도시와 기업도시의 메리트가 모두 사라져 버렸다"고 지적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계획과 관련 "공동혁신도시 조성과 우리시의 신재생에너지산업 등 첨단과학산업도시 건설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남의 세종시 인근 지자체들도 "산업단지 분양에 큰 차질을 빚게 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해, 김문수 경기 지사 등이 세종시 문제를 놓고 뚜렷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고 세종시 문제가 힘겨루기로 번질 경우, 여야간 여여간 대립과 내홍은 한층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