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가스와 전기요금 인상을 예고하는 요금체계 개편이 연말연시에 추진된다. 여기에 가전제품과 식료품 등 주요 품목의 인상이 예고돼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계 살림에 물가 부담이란 주름살이 더해질 전망이다.
8일 지식경제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내년초 가스요금 조정을 위해 정부가 실무 검토를 시작했다. 정부 관계자는 "연료비 연동제 재개 시기와 요금 인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자료 검토와 내부 조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전기요금은 유가 상승에 따라 내년에 인상이 예고된다. 내년 초 연료비 연동제 부활은 가스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전기요금 체계 개편도 내년 물가난을 부추길 변수로 떠올랐다.
또한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내년에 철강, 금, 구리, 원자재,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자동차, 가전제품, 건설, 항공, 식료품, 소주, 전기 등의 가격이 들썩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 중에 전력 소모가 많은 품목에 대해 5%의 개별소비세가 부과되므로 대용량 TV, 에어컨, 드럼세탁기 가격이 오른다.
아울러 유가 인상의 여파로 시내버스 요금과 택시요금, 지하철 요금도 다시 인상 압박을 받을 것을 보인다.
내년부터 정비수가 인상과 자동차보험 손해율 급등으로 자동차 보험료가 오르고 건강보험,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산재보험도 인상될 예정이다.
올 하반기 들어 잠잠했던 집값도 내년에 다시 꿈틀거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국내외 실물경제 회복 기조에다 내년 6월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선거 공약이 쏟아지면서 주택 가격은 4% 내외, 전세금은 5~6%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