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은퇴자 311만명이 쏟아진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철선 연구위원은 8일 "베이비붐 세대와 은퇴와 정책적 대응방안'보고서에서 내년부터 9년 동안 이른바 베이비붐(Baby Boom)세대(한국 전쟁 이후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한 자) 수백만명이 동시에 은퇴하면서 사회.경제적 문제가 우려된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와 기업 구조조정 등이 맞물려 조세부담과 일자리 부족 등 심각한 문제가 대두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가 인용한 통계청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추계 베이비 붐 세대는 모두 71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한다.
이 연구원은 이들 가운데 자영업자와 무급종사자를 제외한 임금 근로자 수는 311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기업들의 정년퇴직이 55세라고 가정할 때, 1955년생이 55세가 되는 2010년부터 1963년생이 55세가 되는 2018년 사이에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써 8년 동안 베이비 붐 세대 712만명이 모두 은퇴할 경우 같은 기간 경제활동가능 15세 이상 인구는 547만 명에 불과해 올해 1인당 조세부담액을 적용하면 내년에 10조2751억원의 세수 부족액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세수 부족 현상은 정부의 재정 악화로 이어지고, 이를 충당하기 위해 베이비 붐 이후 세대의 조세 부담이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또 일본의 '단카이 세대' 예를 들면서 숙련된 노동력의 공백을 야기해 노동생산성과 기업경쟁력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