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WSJ 인터뷰…“개성공단, 가능하면 유지해나가야”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개성공단은 남북간의 협력뿐 아니라 대화의 창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하면 유지해나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자로 발행된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 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북한의 경제가 어려운데 4만명이라는 북한 여성근로자들이 와서 일하는 것은 북한 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만일 개성공단이 폐쇄되면 우리 기업들도 피해를 보겠지만, 4만 명에 달하는 북한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점에 나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북한의 무리한 요구로 민간기업이 떠난다고 결정한다면, 정부는 막을 수 없다. 민간기업의 결정에 정부가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체되고 있는 6자회담을 대체할 복안에 대해 이 대통령은 “과거 방식대로 6자회담의 틀을 유지하는 것은 성과를 내기 어렵다”고 전제하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나서 원하는 것이 무엇일지,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여러 가지 조치를 5개국이 모여 함께 의논해야 한다. 이 점을 오바마 대통령과 이번 회담에서 제안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어 북한의 ‘핵보유국 인정‘ 주장에 대해 “만약 동북아시아에서 핵 보유가 인정된다면 동북아는 균형이 깨어지면서 안보면에서 더욱 위험한 지역이 될 것”이라며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모두 북한의 핵포기라는 궁극적 목표를 공유하고 있으며, 한국도 핵보유를 현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 대해 “다소의 견해차이를 극복하고 같은 목소리로 한단계 높은 결의를 했다고 본다. 결국 북한 비핵화에 목표를 두고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나오도록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진단했다.
한미 지유무역협정(FTA)과 관련, 이 대통령은 “한국은 아세안(ASEAN, 동남아국가연합)을 포함해 인도와 EU 등과 FTA를 추진했다. 일본과 중국과도 검토 중이다. 미국은 한미 FTA를 경제에 초점을 맞춰서 논의하는 것보다 동북아 나아가 동아시아 전체에 대한 전략적 가치를 고려해 비준 시키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한국은 아프가니스탄 주민들에게 도움되는 평화적 사업에 참여할 생각을 갖고 있다. ODA 기금을 대폭 늘려서 후진국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 한다는 의미에서 아프가니스탄을 생각하고 있다. 우리는 과거에 지원을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남에게 도움을 주는 책임있는 세계국가 일원으로 나서려 한다”고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전날 오전 월스트리트 저널 메리 키셀 논설주간 등이 청와대로 찾아와 1시간여 동안 이뤄졌다. 월스트리트저널(토요일자 본판)은 이례적으로 논설면 전체를 할애해 심도있게 보도했다. 또 논설면과 별도로 관련 기사를 동시에 게재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