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응급의료기관 중 인력·시설·장비 기본요건을 유지하는 곳이 10곳 중 4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중앙 응급의료센터인 국립의료원을 통해 실시한 전국 444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평가결과를 21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전국 444곳 응급의료기관 가운데 42%인 188곳만 인력·시설·장비 등 기본요건을 갖췄다. 이는 지난 2007년 충족기관 비율 40%와 비교해 2% 개선된 수치다.
평가 결과 가운데 특히 지역센터 12%가 기본요건인 응급실 전담의사 4명을 갖추지 못해 의료 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센터 29%는 전담전문의 24시간 근무 운영 요건도 지키지 못하고 있었다.
권역센터 16곳 가운데 9곳은 전담전문의 4~6명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시·도가 자율적으로 지정하는 지역 응급의료센터의 경우 부산시와 광주시가 법정 기준을 단 한 곳도 만족시키지 않았다. 반면 강원과 충남은 모두 기준을 충족하는 등 지역적으로도 편차가 컸다.
손영래 복지부 공공의료과장은 “응급의료기관이 기본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은 지정, 지정취소 권한을 가지고 있는 시·도, 시·군·구의 관리가 미흡하기 때문”이라며 “요건을 충족하느냐에 따라 재정적 지원을 차별화해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이룰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역 응급의료센터 16곳 가운데 인천 가천의대중앙길병원과 서울대병원, 아주대병원 등 3곳이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복지부는 이번에도 평가결과가 좋은 128개 응급의료기관에 113억원을 지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