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지난 28일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의 단식농성에 대한 여론동향을 주시하면서 특검 거부에 따른 한나라당과의 전면대치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묘책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꼬일대로 꼬인 현 정국을 원만히 타개할 수 있는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청와대 관계자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표정이다.
청와대는 헌법상 보장된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거부권 행사를 문제삼은 단식농성에 전혀 명분이 없다고 보지만, 거대야당 대표가 `대통령의 측근비리 척결′을 외치며 단식에 들어간 데 따른 정치적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가 넘는 찬성표로 통과된`측근비리 의혹 특검법′을 거부한 데 대한 비판여론도 명분을 중시해온 청와대로선적잖게 부담스런 대목이다.
한 관계자는 "최 대표의 단식투쟁을 강건너 불구경하듯 해선 안될 것 같다"면서"이성적인 해법을 찾기 위해 서로 노력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적절한 시점에 문희상(文喜相) 비서실장이나 유인태(柳寅泰) 정무수석을 여의도 한나라당사로 보내 최 대표를 위로하고 단식 중단을 권유하는 방안을 조심스럽게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고 건(高 建) 총리도 적절한 시점에 내각을 대표해 최 대표를 찾아 유감과 위로의 뜻을 전하고 산적한 민생 현안과 주요법안 처리를 위해 하루빨리 국회를정상화해야 한다는 뜻을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부 청와대 관계자들은 "지금 당장 최 대표를 찾아가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다"면서 "국민 여론 추이를 조금 더 지켜본 뒤 움직여도 움직여야 하는 게 아니냐"고 말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