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31이후 서울 5만가구 증가...강남 39% 최고, 강서 48배 ↑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1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숫자가 8·31대책 당시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1월 현재 서울지역에서 평균 매매가가 10억원 이상인 아파트는 총 10만9166가구로 지난해 8·31대책 발표 당시 5만845가구의 2.1배에 달했다.구별로는 강남구가 4만2244가구로 전체의 39%를 차지했고, 서초구 2만274가구, 송파구 1만9465가구, 양천구 1만96가구, 용산구 5603가구, 영등포구 3342가구, 강동구 2780가구, 광진구 1753가구, 강서구 1248가구 등의 순이었다. 특히 강서구는 8·31대책 당시 10억원 이상 아파트가 26가구에 불과했으나 현재 1248가구로 1년 2개월 만에 무려 48배가 됐고, 양천구(2639가구)는 3.8배, 용산구(2189가구)는 2.5배로 각각 평균 이상 증가했다.평형별로는 30평형대가 전체의 35.3%인 3만8530가구로 가장 많았고, 40평형대가 32.3%(3만5293가구), 50평형대 20.4%(2만2234가구), 60평형 이상 8.6%(9422가구), 20평형대 이하 3.4%(3687가구) 순이었다.◆삼성동 아이파크 41억 최고한편 서울에서 평균 매매가가 가장 비싼 아파트는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73평형으로 41억5000만원이었으며, 2위는 강남구 압구정동 구 현대7차 80평형으로 37억5000만원, 3위는 용산구 이촌동 한강자이 76평형으로 34억원, 4위는 강남구 도곡동 렉슬 68평형으로 33억5000만원이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