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EU, 일본, 중국과의 FTA 등 각종 국제통상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 국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제주지역 산업구조 재편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추진하여 온 「FTA 대응 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용역」최종보고서가 완성되어 본격적으로 FTA 대응방안이 추진되어 질 것으로 보인다. 본 보고서와 요약보고서로 구성된 최종보고서 「2030 제주산업발전 비전과 전략」은, 제1편 대외경제환경의 변화가 제주도에 미칠 영향분석 등 4편 18장, 부록 등 총 716 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월말까지 도 실국 사업소 및 행정시, 도의회, 용역 연구진 및 FTA 관련 중앙기관 등에 배부하여 광범위하게 활용되도록 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앞으로 후속조치로서 지식경제국장(주복원)등 10명내외의 경제전문가와 행정공무원으로 T/F팀을 구성하여 연구보고서에서 제시된 사업 중에서 핵심 필요사업 중심의 산업구조 개편을 구체화한「핵심 산업구조 개편안」을 6~7월중에 마련하고 이 결과를 분야별 세부추진 계획 수립시 반영해 나가도록 할 예정이다. 이와 아울러 각 실국 주관과가 중심이 된 분야별 추진반 4개분야 5개반(1차산업 : 농.축산.임업분야, 수산업 : 수산분야 전반, 2차산업 : 제조업, 서비스업 : 관광.교통.문화, 교육.의료)을 구성 구체화된 세부추진 계획을 7월~10월까지 수립하여 소요예산 확보, 사업시행 등 전략적이고 구체적으로 추진해, 제주도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