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가 지난 3일 이재오(李在五) 전 사무총장의 후임에 4선의 이상득(李相得) 의원을 내정하는 것으로 당무감사 문건유출로 촉발된 당 내분사태 수습에 나섰다.
이 의원은 정책위의장을 두차례 맡았을 뿐 아니라 원내총무, 사무총장까지 역임한 중진으로서 당내 중진들은 물론 소장파들로부터도 지지를 받고 있어 화합형 총장으로서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최 대표가 이 의원을 사무총장에 기용한 것은 공천개혁 강행파와 공천절차 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며 공천심사위 재구성 등을 요구하는 반대파들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면서 당 내분을 추스르는데 적임자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의원은 당내 대표적 소장파들의 모임인 미래연대에서 고문을 맡으며 젊은 의원들과도 호흡을 맞춰왔고, 지난해 9월 5,6공 물갈이론이 쟁점이 됐을 때는 ▲비리연루자 ▲5.6공 시절 민주인사 탄압에 관여한 반민주인사 ▲의원직 유지에만 연연한 `얌체 의원′ 등 3대 기준을 제시하면서 중진들로부터도 지지를 받았다.
이 의원도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 대표가 사무총장직을 맡아달라고 하기에 다른 유능한 사람을 시키라고 했다"고 말하면서도 "그러나 당이 필요하면 나서겠다"고 당내분 사태의 해결사 역할을 자임했다.
최 대표는 화합형 총장 발탁을 통한 내분수습 시도와 함께 공천혁신 노력은 가속화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최 대표는 서청원(徐淸源) 전 대표측과 양정규(梁正圭) 박원홍(朴源弘) 의원 등 일부 시.도지부장들이 제기한 국회의원.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 개최, 공천신청 및 심사연기 등의 요구를 거부하면서 공천일정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같은 최 대표의 양면전략에는 당무감사 자료유출 파문이 계속되면서 내분사태가 `개혁 대 반개혁′ 구도로 비춰지면서 오히려 당과 지도부의 개혁의지가 부각되고 있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최 대표는 지난 4일 기자간담회에서 자료유출에 따른 의원들의 피해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공천개혁의 불가피성을 거듭 강조했다.
동시에 최 대표는 12일부터 시작되는 공천심사 과정에서 당무감사 자료에서 탈락가능성이 있는 D, E 급으로 판명된 위원장 가운데 일부를 공천자로 우선 확정.발표해 `음모론′을 돌파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임태희(任太熙) 비서실장은 "신임 이 총장을 중심으로 당이 화합과 결속을 다지면서 공천과정에서는 원칙있는 심사를 통해 새롭게 거듭나도록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