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비스 산업은 경제의 서비스화라는 명제 하에 전체 경제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가하는 등 서비스 산업이 차세대 경제성장 동력으로 급속히 부각되고 있다. 중앙정부는 서비스산업이 제조업의 고용 없는 경제성장 한계 극복과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달성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인 점을 인지하고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중앙정부의 방침에 발맞추어 전북도 열악한 서비스산업 경영환경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시켜, 제조업 유치 호조로 안정을 찾고 있는 전북 경제성장을 가속시킨다. 현재 국내 서비스 산업경영 환경은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진.출입 규제 유지 및 제조업 중심의 정책자금 운용으로 경쟁력을 강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중앙정부는 제조업에 비해 불리한 세제.전력요금 적용 등 각종 차별요소를 해소시키는 한편, 제조업 수준의 정책금융 지원 확대 방침을 계획하는 등 서비스산업 육성 종합대책을 강구한다. 향후 국민소득이 증대될수록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 요구가 보편화되고 있는 경제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전북은 서비스산업 육성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전담조직을 신설하여 등 지원업무를 체계화 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