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의장중재안 거부” VS 민주, "직권상정 불용"
박근혜 전 대표가 당 지도부 노선을 지지하고 나섬에 따라 미디어법 정국이 새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김형오 국회 의장은 이날 오전 한나라당이 자신의 중재안을 공식 거부함에 따라 여야 원내대표들에게 "오늘 회담을 개최하지 않겠다"고 통보 새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강조하던 한나라당 박 전 대표는 2일 미디어관련법 등 쟁점법안 처리를 둘러싼 국회파행과 관련, "한나라당이 그동안 많은 양보를 했다"면서 미디어법 처리시한 명기 등 민주당의 양보를 촉구했다. 박 전 대표는 특히 미디어법 처리시한 명기와 관련, "충분히 몇 개월의 시간이 있으니 그 안에 결론이 날 수 있다. 시기를 못박지 않는다는 것은 무작정 가자는 것이다"며 "야당이 그 정도는 합의해줄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면서 "이것마저 야당이 거부하면 다른 데 있다고 생각한다. 야당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지 말고 야당 안을 가져와 본격적인 논의를 해야 한다"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박 전 대표는 앞서 미디어법의 문방위 직권상정 이후 국회 파행사태에 대해 "미디어법을 포함해 쟁점 법안에 대한 입장은 이미 밝혔다"면서 "당 지도부에서 현명하게 잘 풀어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입장만을 밝혀왔다. 박 전 대표는 그러나 이번 임시국회 회기 내 직권상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거기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며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었다. 쟁점법안 처리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강조했던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그간 지도부의 미디어법 등 협의 처리 노력을 일정 부분 인정한 것이어서, 향후 한나라당의 쟁점법안 강행처리에 한층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김 의장의 중재로 2일 오전 개최 예정이던 여야 원내대표들의 `미디어법' 담판 협상이 무산되고, 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2시로 예정된 본회의에 대비해 `직권상정 법안 리스트'를 작성, 김 의장에게 건의할 방침이어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여야는 쌍방이 진전된 타협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추후 회담은 없다고 밝히고 있는데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의 김 의장 중재안 거부를 강력히 비난하며, "직권상정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력 대처할 방침이어서 오후 본회의 여야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