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참여, 북한 핵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는 2차 6자회담이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8월27∼29일 베이징에서 1차 6자회담이 개최된 지 반년만에 2차 회담이 열리게 됐다.
외교통상부는 지난 3일 "우리 정부는 그동안 관련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25일 베이징에서 2차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좋겠다는 입장을 중국에 통보했으며 주최국인 중국측이 곧 발표할 것"이라며 "회담 개막 일주일 내지 열흘 전쯤 한.미.일 3자 북핵협의회가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이어 장치웨(章啓月)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 "2차 6자 회담이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베이징에서 개최된다"며 차기 6자 회담이 상호 존중과 평등의 정신아래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앞서 북한은 미국, 중국과 수차례 협의를 갖고 6자회담을 25일 중국에서 열기로 합의했다고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이 3일 조선중앙통신을 인용, 보도했다.
이들 북한 방송은 이날 "다음번 6자회담 개최 문제와 관련해 기본 당사자들인 우리(북)와 미국, 그리고 주최국인 중국과 여러 차례 협의를 거쳐 2월 25일부터 6자회담을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차 6자회담에서는 북한의 핵 동결과 폐기, 이에 따른 미국 등의 대북 안전보장과 지원방안이 논의되며 합의사항이 있을 경우 공동발표문 수준의 공동문안도 채택될 전망이다.
그러나 북.미 양측의 입장 차이가 여전히 큰 것으로 알려져 2차 6자회담에서 뚜렷한 성과가 도출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북한은 1단계 조치로 핵을 동결하는 대신 미국 등은 상응조치를 해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미국은 북한이 핵폐기 절차에 들어가야만 대북지원 방안을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 미국은 농축우라늄(HEU) 방식의 핵 프로그램도 동결 및 폐기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북한은 최근 HEU 프로그램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