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23만명의 강릉시에 화장장과 축산물종합처리시설이 없어 주민들이 속초, 평창, 동해, 원주지역 시설을 이용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지난 1일 강릉시에 따르면 지난 2000년8월 사천면 석교리에 7만5,000여평 규모의 공원묘원을 개설할 당시 해당지역 집단 민원으로 화장장 없이 일반묘지와 납골당, 납골묘지만 조성했고 축산물종합처리장은 지난 2003년말까지 송정동에 1곳이 있었으나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을 충족시키지 못해 문을 닫았다. 이 때문에 화장으로 장례를 하려는 시민들이 속초나 동해지역 화장장을 이용한 뒤 유골을 사천 청솔공원묘원 납골당이나 납골묘지에 안치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축산물종합처리장이 문을 닫은 뒤에는 축산농가와 유통업체, 식당 등이 겪는 불편도 크다. 업계는 하루평균 15∼20마리의 한우와 200∼300마리의 돼지를 처리하던 축산물처리장이 문을 닫으면서 인근 속초나 평창, 원주지역에서 도축해 반입하는 바람에 시간과 비용 부담이 크다고 주장했다. 양축농가들은 특히 상인들이 도축장 가까운 곳에서 가축을 매입하는 바람에 강릉지역 소, 돼지 판매에 어려움이 많고 돼지의 경우 도축장까지 운반하는 과정에서 죽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최종아 강릉시의회의장은 “화장장과 축산물종합처리장 등 시민 생활과 직결되는 시설이 없다는 것은 문제”라면서 “집행부와 협의해 빠른 시일안에 이 같은 필수시설이 들어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화장장과 축산물종합처리장이 혐오시설이라는 이유로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