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암도기문화센터 매년 봄, 가을 특별전과 연중 상시
영암도기문화센터에서는 지난 2002년 11월 15일부터 11월30일까지 영산강 유역에서 8C~9C 대규 도기 제작장으로 1차 1986년 2차 1996년 이화여대 박물관이 발굴한 옹관(토기시대의 관) 일상생활 용기류와 녹갈, 황갈, 흑갈색의 시유 도기 및 강성곤(호남대 교수) 작품 박순관, 배요섭, 이능호, 정윤석, 홍영수 등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또 체험 장을 개설하여 관람자들도 직접 토기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질그릇은 선사시대 이래 우리민족의 삶 속에 생활기로서 긴 생명을 이어온 한국 도자사 속의 진정한 주인공이며 영암은 질그릇 생산의 맥을 이어온 한국 도기의 신성한 성지이다.
질그릇은 과거전통으로서의 가치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 친화적 희구성질과 순수하고 질박하여 오히려 세련된 선과 질감들이 현대적 생활양식과도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는
“온고지신”의 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질그릇의 아름다움은 거친 듯 숨쉬는 태토와 흙과 함께 호흡을 조절한 후 도공의 물레질에서 나오는데 흙띠를 수레로 두드려 만드는 타렴 성형의 멋이 바로 질그릇의 한국적인 선과 넉넉한 비례미로 표현되는 것이다.
이번 전시회는 전통도기 제작기법인 타렴 성형법을 고수하며 작업하는 장인과 도예가들을 초대하여 영암의 황토로 빗은 질그릇을 선보인다. 이들은 편리함을 뒤로한 채 옛 방법을 통해 한국적인 질그릇의 아름다움을 전달하고 있는 진정한 장인들이라 생각된다. 전남지역의 독특한 쳇바퀴타렴, 경기지역의 흙띠타렴, 수레로 문양을 표면에 배치한 현대적 기법 등 다양한 방법에서 나오는 서로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영암도기문화센타에서는 매년 봄, 가을 2회 특별전 그리고 연중 상시 전시를 통해 이 시대의 장인들이 만들어낸 질그릇의 멋과 가치에 대한 생각을 되새겨 보면서 영암황토의 우수성을 실험하는 작업의 연장선에서 앞으로의 긴 여정에 한 걸음 딛고자 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예로부터 해상통로의 요충지로서 왕인 박사가 응신천왕의 초대로 논어 10권 천자문1권 옹기기술자를 비롯한 각 기술자들과 5척의 배를 나누어 타고 일본으로 출항한 역사적 상대포 항이기도 하다. 근교에는 옛 가마가 보존되어있고 왕인 박사 유적지도 있어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좋은 학습지로 활용되고 있다.
신유경 shinyk@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