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약값 인하 압박에 화이자가 미국 내 신약을 최저가로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화이자는 미국 내 의약품 생산을 확대하고 98조 원을 투자해 공장 인수 및 건설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화이자 제품에 대해 의약품 관세를 3년 유예하기로 했다.
다른 글로벌 제약사들도 화이자의 결정에 따라 미국 약값 인하 동참 가능성이 높다.
제약사들은 미국에서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해외 국가에 약값을 전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일라이 릴리는 영국에서 비만약 ‘마운자로’ 가격을 170% 인상했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약가 인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정부의 약가 협상력으로 일부 방어가 가능하다.
하지만 신약 시장에서 한국이 외면받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약값이 낮으면 글로벌 제약사들이 신약 출시를 포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소비자 입장에선 불리하지만, 국산 신약 개발에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