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두 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마포구 아파트 화재.
올해 초 에어부산 기내 화재까지...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마찬가지로 모두 리튬이온 배터리가 원인으로 지목된 사고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이렇게 화재에 취약한 건 내부에 있는 얇은 분리막이 파손되면 순식간에 '내부 합선'이 발생해 열폭주 현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분리막 파손은 외부 충격뿐만 아니라 노후화에 따른 내부 문제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번에 화재가 난 배터리는 2014년 8월 설치돼 내구연한인 10년을 1년 이상 넘긴 거로 확인됐다.
내부가 손상돼 과열이 시작되면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있는데도, 그동안 배터리와 서버는 좁은 공간에 함께 배치돼 있었다.
업무 시스템 서버와 배터리 사이 간격은 불과 60cm에 불과했다.
서버와 서버 사이 간격도 1.2m로 공간은 협소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배터리 노후화 문제에 대해서는 정기 점검을 지속적으로 받아왔고, 최근 점검에도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