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영어 공교육 강화에 팔을 걷어붙였다.이 당선인은 31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간사단 회의에서 “외국은 영어를 얼마나 하느냐에 따라 좋은 일자리를 얻느냐 못 얻느냐 등 소득의 차이가 난다”면서 “비영어권 나라에서 국민이 영어를 잘하는 나라가 영어를 잘 쓰지 못하는 나라보다 훨씬 더 잘 산다”고 말했다.이 당선인은 영어 공교육 강화안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반대와 저항은 으레 있다”며 “고속도로에서 상·하행선이 분명한데도 역주행을 해 대형 교통사고가 일어난다. 생활 모든 것에서 왜 요즘 역주행이 많은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그는 특히 “인수위에서 만드는 영어 공교육 문제가 정치 쟁점화하는 것은 반대”라며 “국가의 미래를 위해 머리를 맞대야지 반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향은 인수위가 맞다. 큰 원칙을 인수위가 잡고 설득하는 과정을 좀 더 가졌으면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이 당선인 측은 그가 현대건설 재직 시 중동의 건설현장 등 세계를 누빈 경험을 체화한 것이라고 전했다.이 당선인은 당시 신입 사원들이 영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 일을 거론하며 여러 차례 안타까움을 표시했고, 그의 영어 역시 현장을 누비면서 배운 실전 영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이경숙 위원장이 영어 공교육 대책 마련을 강조해 이 당선인이 관심을 더 쏟았다는 후문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이 위원장이 당선인을 직접 만나 설명하고 설득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이 위원장이 총장으로 있는 숙명여대는 미국 메릴랜드대와 손잡고 테솔(TESOL·비영어권 학생 영어 교수 자격증)을 만들기도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