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많은 실업난과 중소제조업 및 3D업종에서의 일손 부족난 양극화 현상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사안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는 자치단체에서는 처음으로 민간직업상담사를 자원봉사자로 위촉, 전문적 취업알선과 상담에 들어갔다
지자체에서는 비전문적인 공무원이 상담업무를 맡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더욱 큰 문제는 구직자와 구인자의 눈높이 차가 심화가 가장 큰 문제로 되어 있다.
이번에 위촉된 자원봉사자는 8명으로 1일부터 4명은 시취업정보센터(☏427-1919)에, 각 2명은 남구와 연수구 취업정보센터에 배치됐다.
지난 1일 근무에 앞서 박영복 정무부시장의 배석아래 취업정보센터 현판제막식과 자원봉사자 위촉장 수여가 있었다. 위촉장을 받은 자원봉사자들은 힌결같이 취업 전문상담사로서 실업자 구제에 적극 참여한다고 밝혔다.
시는 인천지역 실업자 4만 8천여명 가운데 6개월 이상 실직상태에 있는 장기실업자 2만 4천여명을 자원봉사자를 통해 적극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장기실업자들의 자료를 1년이상 체계적으로 관리키 위해 `징검다리` DB프로그램을 구축, 시험운영중에 있다.
현재 노동부가 운영하는 고용안정정보망(Work Net)에는 구직자에 대한 정보가 3개월만 남아 있어 6월 이상 장기실업자 자료는 사실상 관리가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자원봉사자들은 `징검다리`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실업자들이 취업이 될 때까지 상담과 구인업체 소개를 반복하는 후견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시 관계자는 취업정보센터를 통해 연간 3천여명을 취업시킬 계획이고 전체 군·구에 자원봉사자를 추가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주호정 기자> zoo@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