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10일 “핵문제 해결에 대한 북측의 의지는 굳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합의는 서해상에서 우발적 군사충돌을 없애자는 데 서로의 생각이 일치한 결과”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부터 1시간 20분 동안 청와대에서 진행된 헌법기관장 초청 남북정상회담관련 간담회에서 ‘2007 남북정상선언’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정상회담의 분위기 등을 전하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김정섭 청와대 부대변인이 전했다. 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과정에서 있었던 후일담도 소개했다. 노 대통령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 서두와 전날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면담에서 북측이 ‘자주’문제를 집중 거론했을 때 당황스러웠다”며 “이에 대해 우리 정부가 일관되게 펼쳐온 ‘자주국방’과 ‘균형외교’는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이익을 지키면서도 지혜롭게 살아가는 길이라는 점을 이해시키려고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상회담에서 경제특구를 확대하는 데 대한 북측의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주력했다”며 “앞으로 열릴 총리회담과 경제협력공동위원회에서도 이른바 ‘3통’ 문제 등을 비롯한 제반 협력의제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북측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임채정 국회의장은 “우리는 공산주의 성립 이후 분단국 중 대화를 통해서 민족내부문제를 풀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남북 국회회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가 함께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했다. 이용훈 대법원장은 “이번에 민족사에 하나의 디딤돌을 놓았다”며 “독일 통일 과정을 보더라도 오랫동안 이러한 디딤돌이 착실히 쌓여서 가능했다, 통일체제보다 민족공동체제를 만들어가는 데 우선 인식을 같이하면 좋은 앞날이 기대된다”고 덕담을 건넸다. 이 대법원장은 이어 “앞으로 남북간 교류·협력단계가 깊어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 해결방법 등 사법절차 마련이 상호 논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임채정 국회의장, 이용훈 대법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이강국 헌법재판소장, 고현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참석했고, 문재인 대통령비서실장, 백종천 안보실장, 전해철 민정수석이 배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