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부 밝혀…송 외교 “차기 6자회담 내주 중 개최”
미국 정부는 6자회담에서 도출한 2·13 합의의 북한 비핵화단계 이행에 따른 상응조치로 북한에 제공할 중유 제공준비작업에 들어갔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숀 매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이 2·13합의에 따른 약속을 이행할 경우 미국도 6자회담 메커니즘의 일환으로 필요한 준비를 해야 한다”며 “미국 의회에 중유 5만t 지원계획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미국 정부의 대북 지원 의회 통보는 현재 미국의 경제제재상태에 있는 북한에 경제적 지원을 위해 필요한 사전 의회 통보절차에 따른 것이다. 매코맥 대변인은 “향후 재개되는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 불능화와 모든 핵프로그램의 완전한 신고, 그리고 다른 국가의 대북 지원에 관한 일정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며 “북한이 약속을 이행해야 중유 제공이 완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 포기에 관한 전략적 선택을 했다는 징후가 있다고 보고 있지만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면서 “우리는 그들이 그런 결정을 내렸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매코맥 대변인은 또한 북한에 체류 중인 ‘북핵 기술팀’의 활동에 대해 “영변원자로와 방사화학실험실, 핵연료봉 제조공장 등을 둘러봤으며 북한 측이 충분히 협력했고, 원하는 것을 모두 봤다”고 전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은 2·13 합의를 통해 북한이 핵시설 폐쇄 등 초기조치 이행에 맞춰 중유 5만t을 제공하고, 북한이 2단계로 모든 핵 프로그램 신고와 핵시설 불능화 조치를 취하면 이에 상응해 중유 95만t 상당의 경제·에너지·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한편 차기 6자회담 본회의는 다음주 중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될 전망이다.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 12일 “차기 6자회담은 다음주 중반경 열릴 예정이며 다음 단계에서 무엇을 할지에 대한 이행계획을 모으는 중”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APEC 기간 중 관련국과 협의를 했다”며 “한번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톱니바퀴처럼 한 단계씩 밝아가면서 뒤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가 6자회담에서는 연내 북한 핵시설 불능화와 핵프로그램 신고에 합의한 9월 초 북·미 관계 정상화 실무협의 등 각 실무협의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비핵화 로드맵이 논의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