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가 지난 1일 17대 총선 출마자 후보등록을 마감한 결과 지역구 후보는 전국 243개 지역구에서 1천175명이 입후보, 4.8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또 사상 첫 `정당투표′로 선출하는 비례대표 후보는 14개 정당에서 190명이 등록, 3.4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당초 예비후보자로 1천300여명이 등록, 5대1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던 경쟁률이 낮아진 것은 민주당 내분에다 `탄핵정국′ 이후 각종 여론조사 결과 민심이 열린우리당으로 급격한 쏠림현상을 보여 민주당 일부 후보 및 무소속 예비후보자 상당수가 출마를 포기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6대 총선 경쟁률은 4.6대1, 15대 총선은 5.5대1이었다.
지역구 후보의 경우 정당별로는 열린우리당이 243명으로 전 지역구에 후보를 냈으며 한나라당 218명, 민주당 182명, 자민련 123명, 민주노동당 123명 등이었으며, 무소속은 224명이었다. 특히 민주당은 당초 224명의 후보를 공천했으나 42명이 출마를 포기했다.
지역별로는 충남이 10개 선거구에 57명이 등록, 5.7대1로 가장 경쟁률이 높았고 서울 250명(5.2대1), 부산 85명(4.7대1), 대구 63명(5.3대1), 광주 35명(5.0대1), 경기 229명(4.7대1), 전북 54명(4.9대1), 경북 69명(4.6대1) 등이었다.
서울 중구, 성남 수정, 김제.완주 등 3개 선거구에는 9명의 후보가 등록, 9대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에 단독입후보한 무투표당선자는 없었으며 부산 해운대.기장갑, 부여.청양, 익산갑, 진안.무주.장수.임실, 상주, 고령.성주.칠곡, 서귀포.남제주 등 7개 선거구가 2대1의 최저경쟁률을 보였다.
여성 후보는 66명으로 5.6%를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40.2%(472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28.0%(329명), 60대 이상 18.2%(214명), 30대 12.8%(151명), 20대 0.8%(9명) 등으로 40대 이하가 53.8%를 차지, `정치권 세대교체′를 예고했다.
지난 15대 총선의 경우 50대 후보가 42.9%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하는 42.8%에 그쳤으며, 지난 2000년 16대 총선에서도 50대 후보가 32.2%로 가장 많은 가운데 40대 이하는 46.0%였다.
직업별로는 국회의원 163명, 정치인 454명, 변호사 91명 등이었으며, 학력에선 대졸자가 45.4%(534명)를 차지했고 대학원 재학 이상이 39.6%(465명)이었으며 고졸 이하는 8%였다.
비례대표 후보자의 경우 열린우리당 51명을 비롯해 한나라당 43명, 민주당 26명 등 14개 정당에서 190명이 등록했다.
후보자들은 지난 2일부터 공식 선거전에 돌입, 오는 14일 자정까지 13일간 본격적인 선거운동을 벌이며 지지를 호소하게 된다.
부재자 투표는 9-10일 이틀간 실시되며 본 투표는 15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1만3천167개 투표소에서 이뤄진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