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IAEA 실무단 초청…초기조치 이행 돌입
방코델타아시아(BDA)에 묶여 있던 북한 자금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실무대표단을 초청하는 등 2·13합의 초기조치 이행을 위한 6자회담 참가국 대표단의 발길이 빨라지고 있다. IAEA 멜리사 플레밍 대변인은 17일 “북한으로부터 북핵사찰 개시를 위한 실무대표단 초청 서한을 받았다”고 확인했다. 이에 따라 IAEA 실무대표단은 이번 주 중 방북해 북한 당국자들과 핵시설 동결 대상과 범위 사찰 절차 등을 세부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2~3주 안에 영변 핵시설 가동중지 등 후속조치가 뒤따를 전망이다. 이에 앞서 북한은 1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BDA 동결자금 문제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면서 IAEA 실무대표단을 초청한다고 발표했다. 북한 원자력총국 리제선 총국장은 IAEA에 보낸 서신을 통해 “2·13 합의에 따르는 영변 핵시설 가동중지에 대한 IAEA의 검증감시 절차 문제 토의와 관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국자 “BDA 해결에 한국 정부 결정적 역할”정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IAEA가 봉인하고 감시 장치를 설치하는 데 얼마나 걸릴 지는 북한에 달렸다”며 “IAEA간 협의 과정에서 며칠이 걸릴지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상식적으로 오래 걸릴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6자회담 참가국들은 핵시설 폐쇄를 통해 2·13합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6자회담을 열고 비핵화 실무그룹 회의를 갖는 등 북한 비핵화 일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번 BDA 문제 해결과정에서 우리 정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당국자는 “지난 5일 한·러 외교장관 회담에서 우리 측은 러시아 측에 ‘러사아가 BDA 해결을 도와주는 것이 향후 양국 관계에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라고 전했고, 러시아가 우리의 강력한 의망에 대해 신경을 쓴 것 같다”고 귀띔했다. 이 당국자는 “다른 모든 방법이 성사되지 못할 경우 우리 국책은행을 통해서라도 송금을 중계한다는 의지를 갖고 있었기에 우리가 논의 과정에서 발언권을 가질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힐-천영우 18일 회동, 향후 일정 논의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도 17일 몽골에서 “IAEA가 북한 초청을 받아들여 실무대표단을 곧 북한으로 보낼 것이라는 이메일을 IAEA 당국자로부터 받았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또 “한국이 18일부터 북한에 중유를 지원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개시할 것”이라며 “그러나 북한이 중유를 직접 받는 데까지는 아마 몇 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18일 오전 베이징에서 중국 당국자들과 6자회담 재개 일정을 논의한 뒤 이날 오후 방한,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과 회동할 예정이다. 한편, 폐쇄·봉인될 핵시설에 대해서는 지난 3월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 방북시 평안북도 영변·태천 지역의 원자로와 방사화학실험실 핵연료봉 생산시설 등으로 잠정 논의를 한 상태여서 실무대표단의 절차 문제 합의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17일 북한이 IAEA 실무대표단을 초청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2·13 합의대로 영변 핵시설을 폐쇄를 시작할 준비가 돼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측된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미국 당국자의 말을 인용 “최소 2300만달러의 BDA 북한 자금이 지난 주 마카오 금융당국으로부터 뉴욕 연방은행으로 송금됐고, 이후 러시아 중앙은행으로 이체됐다으며 18일에 그 돈이 북한과의 국경에 위치한 러시아 상업은행으로 전달될 것”이라고 전했다. 2·13 합의는 초기단계 이행조치로 북한은 영변핵시설 폐쇄·봉인, IAEA 사찰단 입북 및 감시활동 재개, 모든 핵프로그램 목록 협의를 이행하고, 6자회담 참가국들은 이에 상응해 중유 5만t 상당의 긴급에너지를 제공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