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측 “우리 죽이기 음모”박근혜 측 “이참에 공약 폐기”
정부산하기관인 수자원공사와 국토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등 3개 기관이 “한반도 대운하는 수익성이 없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그동안 한나라당 유력 대선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간 치열하게 전개되던 대운하 논란에 정부기관까지 가세, 보다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됐다.건설교통부의 한 관계자는 4일 “3개 기관이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2월부터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대통령선거 공약인 ‘한반도 대운하’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벌였다”고 밝혔다.태스크포스의 검토 결과에 따르면 경부운하의 수익성은 1998년 당시 비용편익비율이 0.24로 나왔으나 이번에는 0.16으로 산정됐다. 이는 100원을 투자할 경우 16원의 수익이 생긴다는 의미. 경부운하를 만들기 위해서는 18조원이 들어가며 취수장 이전, 컨테이너 터미널 설치 등을 위해서는 추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 측은 ‘이명박 죽이기용 정치공작 보고서’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 전 시장 캠프의 박형준 대변인은 “청와대가 직접 주문생산을 의뢰하고 관계기관이 총동원되다시피 해 만든 정치공작용 기획 보고서라고 볼 수밖에 없다”면서 이는 ‘이명박 죽이기’의 신호탄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그는 또 “박 전 대표 측이 정권의 불순한 보고서를 입수, 아군을 공격하는 무기로 활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문을 갖고 있다”면서 “여권의 음해성 공작에 아군이 휘둘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박 전 대표 측을 겨냥했다.박근혜 전 대표 측은 정부기관이 개입해 검증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공감을 표시하면서도 “차제에 공약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박 전 대표 측의 유승민 의원은 “정부기관이 검증하는 것은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면서도 “정부기관 보고서에 나타난 ‘경제성이 없고 환경에도 좋지 않다’는 내용 자체는 타당하다”고 말했다.◆청와대 “오히려 잘한 일” 이에 대해 청와대 천호선 대변인은 이날 해당 기관으로부터 중간 보고서를 보고받은 사실을 시인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관심이 매우 높고 국민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타당성 조사로 “전혀 문제가 없고 오히려 잘한 일”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