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농업기술센터는 지속적인 쌀 안정 생산을 위해 성주군농업기술센터 (소장 박춘근)에서는 2002년 중점지도과제로 할죽을 꽂고 비닐을 씌우는 기존의 보온절충 못자리 보다 노동력과 자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 할 수 있는 부직포 못자리를 지난해 전체 못자리 면적 30%에서 60%로 대폭 확대 보급키로 하였다.
부직포 못자리는 볍씨를 파종한 육묘 상자에 모판을 놓고 그 위에 할죽과 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를 평면으로 씌워 두었다가 벼잎이 2∼3장 나왔을 때 부직포를 벗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게되면 기존의 보온절충 못자리에 비해 못자리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외기 온도가 25도 이상높게 올라가도 고온피해와 뜸묘, 잘록병이 발생되지 않아 통풍 작업이 필요 없는 등 농업인이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농업기술센터에서는 지난 몇 년간의 부직포 못자리 생육조사결과 모의 생육이 균일하고 고온으로 인한 웃자람 현상이 없어 모가 튼튼하게 자라 모내기 후 활착이 왕성하는 등 농업인의 호응도가 매우 높음에 따라 올해부터 부직포 못자리를 본격적으로 확대 보급하기 위해 연초에 실시된 새해영농설계 교육시 특별교육을 이미 실시 하였으며 군비를 지원해 군관내 5개지구에 본논 20ha분(못자리 면적 400평) 시범단지를 설치하여 농업인이 직접 살펴보고 배울 수 있는 현장 교육장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낙춘 기자> snc@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