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 교수 "줄기세포 원천기술 보유 확실…검증위해 5개 배양중"
정부는 16일 오전 이해찬 국무총리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논란과 관련, 조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논문의 진위를 예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조사결과와는 별개로 관련 분야 연구가 위축되지 않도록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은 긴급대책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서울대의 신중하고도 조속한 조사를 기대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김 처장은 “황 교수 연구의 진위는 과학적 조사에 의해 밝혀져야 하며,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결과를 지켜보고 대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서울대 조사결과에 따라 황 교수 연구팀에 대한 계속 지원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김 처장은 “지원과 논문 진위를 연관시키는 것은 근시안적인 일이다”라며, “황 교수 조사 결과와는 별개로 관련 분야 연구가 위축되지 않도록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R&D 지원방침과 관련 김 처장은, “우주개발 사업의 예처럼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계획이나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지원한 뒤 결과를 보고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황 교수팀 연구성과의 진위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생명공학 기술은 상당부분 발전했다”며,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정부지원이 계속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25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했고, 이중 30억 원은 직접 연구비로, 나머지는 관련 시설비로 투자됐다. 이날 긴급대책회의에는 오명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 김병준 정책실장, 문재인 민정수석, 박기영 정보과학기술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한편, 황우석 교수는 이날 오후 2시 서울대 수의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보관했던 5개 줄기세포를 해동, 배양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사이언스 논문은 진위확인과는 별개로 사진이 바뀌는 등 중대한 실수가 있었던 점을 고려해 공동저자의 동의를 얻어 철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