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인 열람·복사 가능… 냉전시대 남북 외교전 등 포함
외교통상부는 4일 제14차 외교문서 공개를 통해 30년이 경과한 1976년 문서 11만9000여쪽을 공개했다. ‘연례 외교문서공개제도’ 시행에 따라 이번에 공개된 문서는 모두 965권으로 △미국 의회의 한국관계 청문회 △3·1 민주 구국 선언문 낭독사건 △사할린 동포 귀환문제 △우루과이 및 볼리비아 농업이민 추진 △주월남(베트남) 대사관 폐쇄에 따른 한국 정부 재산 처리문제 관련 문서 등이 포함돼 있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문서를 통해 1976년 주한미군 철수를 거론한 미국 민주당 지미 카터 후보의 대통령 당선이 유력해지자 비상이 걸린 한국정부는 미군철수를 막기 위해 치열한 로비전을 펼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한국정부는 미군철수를 막기 위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반도 정세 및 한미관계’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카터 후보진영에 전달, 미군 주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냉전시기 국제무대에서 북한과의 치열한 외교각축전 상황도 엿볼 수 있다. 공개된 외교문서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미국 시민 북한 지역 여행제한 해제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한 로비활동을 전개했으며, 이를 통해 실제로 북한 여행 제한조치가 1년동안 연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일제시대 사할린으로 강제징용된 한인의 귀환문제에 대해 일본 측이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이미 해결된 문제로 공식적으로 논의하기 어렵다'며 비용부담을 거부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 밖에 박정희 정권은 통일교의 배후 지원역할을 했다는 미국 의회와 언론의 문제제기가 잇따르자 통일교와 관계청산을 시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공개된 외교문서는 서울 서초동 외교부 외교사료관 문서열람실에서 일반인들도 열람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필름에 의한 복사도 가능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