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지난 15일 외교통상부 공무원의 `대통령 폄하발언′ 파문 등과 관련, 윤영관(尹永寬) 외교장관의 사표를 수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후임자는 청와대 인사수석실에서 마련한 3-4명의 후보자들에 대한 최종 검증을 거쳐 이르면 이번 주말께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찬용(鄭燦龍) 청와대 인사수석은 브리핑에서 "노 대통령은 윤 장관의 사표를 수리했다"면서 "수리한 사유는 참여정부의 외교노선에 있어서 혼선과 잡음이 있었고 최근 외교부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태에 대해 지휘 감독책임을 제대로 수행못한데 대한 사의 표명이 있었고 이를 수리했다"고 밝혔다.
정 수석은 "외교부 일부 직원들은 과거의 의존적인 대외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참여정부가 제시하는 `자주적′ 외교정책의 기본방향을 충분히 시행못하고 공사석에서 구태적 언행을 수차례 반복하고, 보안을 요하는 정보 유출, 대외정책에 혼선을 초래했다"며 "이런 사실의 조사과정에 대해서도 다시 이를 누출하는 등 정부의 기강을 흔든 일을 자행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후임자에 대해 "인사수석실에 갖고 있는 자료를 토대로 3-4명에 대한 검증에 들어갔다"면서 "조만간 후임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수석은 후임자 발표 시기에 대해 "검증과 인사추천위 회의가 끝난 뒤 총리의 제청을 받아 새로운 인사를 추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 수석은 윤 외교를 `경질′하지 않고 사표를 수리한 이유에 대해 "먼저 사의를 표명했기 때문에 이를 수리한 것"이라고 말해 사실상 `경질′에 가까운 사표 수리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문제의 발언을 한 조현동(趙賢東) 북미 3과장을 비롯, 위성락(魏聖洛) 북미국장, 신각수(申珏秀) 조약국장, 이혁(李赫) 외교장관 보좌관, 최희덕 북미3과 서기관 등의 거취가 주목된다.
한편 윤 장관 후임에는 라종일(羅鍾一)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 반기문(潘基文) 외교보좌관, 한승주(韓昇洲) 주미대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