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0일 원전센터 부지선정을 재검토 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지난 7월 후보지 신청 당시 거론됐던 강원도 삼척시는 이 문제를 논의해보겠다는 반응인 반면 경북 울진이나 영덕은 유치신청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했다.
삼척시 원덕읍번영회는 이날 원전폐기물처리장 유치에 대한 찬.반문제를 합법적, 공개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번영회는 이사회 및 총회 등 공식절차는 물론, 각 기관 및 사회단체 등과 회의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앞으로의 입장을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번영회 관계자는 "원전센터 유치 문제는 지역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민감하고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당장 입장을 밝히기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원덕읍 주민들은 지난 9월 일부에서 원전센터 유치를 위한 서명을 받는 등 찬.반 논란이 일자 이 문제를 원덕읍번영회에 일임하기로 의견을 모았었다.
이에 비해 한때 후보지로 거론됐던 경북 울진군과 영덕군은 `신청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용수 울진군수는 "울진에는 이미 5기의 원전이 가동중이고 2006년에 1기가 완공되며 또 4기의 신설을 위해 부지지정을 해 놓은 상태"라면서 "더 이상 핵시설물 유치는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정부가 지금까지 3차례에 걸쳐 울진지역에 더 이상 핵관련시설물을 설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문화 했다"면서 "정부가 재신청을 받더라도 울진은 결코 신청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황천호 울진 핵폐기장반대투쟁위원회 공동대표는 "이미 핵단지화가 된 상태에서 울진지역에 핵시설물 유치가 다시 거론되는 것 자체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영덕군의 이상열 군의회 의장은 "군민들이 대부분 핵관련 시설물 유치를 반대하기 때문에 군의회는 유치 신청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정부가 지난 2월4일 핵폐기장 후보지역으로 영덕을 지정하자 같은달 5일 군수와 군의회 의원, 사회단체 등 150여명으로 핵폐기장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했으나 부안 위도가 핵폐기장 설치지역으로 결정된 뒤 지난 8월20일 이를 해체했다"면서 "영덕이 다시 거론되면 해체했던 대책위원회를 다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