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 시위에 대해 사회 각계로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찰과 민주노총이 최초로 평화적 시위문화 정착을 위해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눴다. 22일 한국정책방송 KTV가 ‘평화적 집회시위 문화의 정착을 위하여’란 제목으로 마련한 토론 프로그램에서 민주노총 김명호 기획실장과 경찰청 김철주 경비국장은 속내를 숨기지 않으며 진지한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에는 양측 외에도 ‘평화적 집회시위문화 정착을 위한 민관공동위원회’ 함세웅 위원장, 한겨레신문 홍세화 시민편집인, 경찰대 표창원 교수가 참여했다. 민주노총 김명호 실장은 “지난해 11월 70대 농민이 숨졌다. 집회시위를 통제의 대상으로만 보니까 폭력적 과잉진압이 일어난다.”며 “집회 때 무장하지 않은 경찰들이 서 있으면 마음이 편하다”고 경찰 행정에 대한 유감을 표시했다. 이에 경찰청 김철주 국장은 “일방적으로 경찰을 폭력적인 집단으로 몰아가니 언짢다. 쇠파이프가 출현한 것만 봐도 시위대 역시 만만치 않다.”고 맞받았다. 김 국장은 이어 “경찰은 먼저 최루탄을 거두고 ‘통제’를 ‘보호, 관리’라는 용어로 정립했다”며 “이후 폭력시위의 비율이 감소하고 평화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은 감사하다. 타협점을 찾자.”고 말했다. 김 실장(민주노총)은 시위에 대한 국민 여론과 관련 “주류 언론이나 시위문화를 바꾸자고 말하는 쪽의 입장을 들어보면 시위는 폭력적이고 불편하다는 전제를 두고 왜곡 호도한다”면서 “집회와 시위에 관한 선입견을 버릴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온전한 의사소통이 이뤄진다면 (집회시위가) 그렇게 빈번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 국장은 “한국 언론 뿐 아니라 외국 언론의 시각도 마찬가지로 한국 시위대는 폭력적이고 위험하다고 본다”며 “국민들의 80% 이상이 불편하다 느끼고 반대한다면 국민의 경찰로서 그것을 따를 수밖에 없다. 국민의 눈과 생각을 따라가야지 국민들 설득하고 계몽시키려고 하는 것은 오만”이라고 반박했다. 민주노총 김 실장은 또 “시위만 바뀌어야 하는 게 아니고 먼저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야 한다. 올바로 가면 시위하지 않는다.”며 “집시법(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률)은 헌법의 정신에 맞게 손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권리와 자유를 모두 만끽하고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왜 시위하러 나왔는지 한 번쯤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경찰청 김 국장은 “모든 사회문제가 대화와 타협을 통해 조정 해결됐으면 한다”며 “집회시위를 규제하기보다는 보호한다는데 기본원칙을 두고 위험요소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함세웅 위원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대화의 자리, 만남의 장, 이 자체로서 의미가 있다. 서로 상대방의 모습에서 나의 모습을 발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면서, 특히 민주노총에 대해 “겸허한 자세로 힘의 과시가 아니라 희생과 양보, 절제하는 노동자 지도자가 돼 주시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 TAG
-